대중교통이 편리한 교통도시 |
---|
-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로 지역단절 개선 및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
| 다음 | - 1[1-9]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로 지역단절 개선 및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
| 다음 | 일치 |
| - 2[1-6] 경인전철 지하화 및 상부부지 통합개발 추진
| 일치 |
| | 일치 |
-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하부도로 지하화로 정체 해소
| - 4[1-8]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하부도로 지하화로 정체 해소
| 일치 |
- 지하철역 접근성을 높이는 순환버스 운행 및 굴곡 버스노선 개편
| - 5[1-10] 지하철역 접근성을 높이는 순환버스 운행 및 굴곡 버스노선 개편
| 일치 |
- 시민안전 위한 버스기사 1일 2교대제 도입 적극 지원
| - 6[1-11] 시민안전 위한 버스기사 1일 2교대제 도입 적극 지원
| 일치 |
| - 7[1-13] 스마트 교통신호시스템(ITS) 구축
| 일치 |
| | 일치 |
- GTX-D(김포~부천~강남~하남) 원안사수 및 추진
| - 9[1-1] GTX-D(김포~부천~강남~하남) 원안사수 및 추진
| 일치 |
| | 일치 |
- 서해선(원시~소사~원종~대곡) 차질없이 완공 및 원종역 구간 우선개통 추진
| - 11[1-3] 서해선(대곡~소사) 완공 및 부천구간 우선개통
| 일치 |
- 대장~홍대입구 광역철도 조기착공 추진 및 ‘오정역’추가 추진
| - 12[1-4] 대장홍대 광역철도 조기착공 추진 및 ‘오정역’ 신설추진
| 일치 |
- 제2경인선(시흥~범박‧옥길~광명) 및
신구로선(시흥~범박‧옥길~목동) 조기 착공
| - 13[1-5] 제2경인선 및 신구로선 조기 착공
| 일치 |
스마트 도시설계로 살기좋은 쾌적도시 |
---|
· 도시 전체 재설계로 도시개발 촉진 | 다음 | - 14[2-5] 도시 전체 재설계로 도시개발 촉진
| 다음 | 일치 |
- 원미‧소사‧오정의 시범사업지구 지정 재개발 추진
| - 15[2-2-1] 원미・소사・오정 공공주도(시범사업) 재개발 추진 및
| 일치 |
| - 16[2-2-2] 부천시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
| 일치 |
| - 17[2-3] 청년・신혼부부 공공주택 공급 확대 추진
| 일치 |
- 노후APT 및 주택단지 재건축‧리모델링 활성화(요건완화)
- 중동1기 신도시 디지털 아파트로 재건축, 리모델링 지원
- 원도심 재건축 및 리모델링 공공컨설팅 운영
| - 18[2-1] 1기 신도시와 노후아파트 재건축 및 리모델링 추진
| 일치 |
- 노후주택 정비 등 다세대, 다가구주택 밀집지역 관리 강화
- 다양한 규제 완화를 통해 사업의
수익성 개선 및 주민의 부담 최소화 방안 추진
| - 19[2-4] 노후주택 정비 및 다세대주택 밀집지역 관리 강화
| 일치 |
- 공동주택, 노후주택의 노후관 교체로 녹물없는 수도관 개량 지원
| - 20[2-8] 공동주택, 노후주택의 노후관 교체로 녹물없는 수도관 개량 지원
| 일치 |
- 職(직)住(주)樂(락)의 동네 15분 생활권 도시 구현
| - 21[2-6] 職(직)住(주)樂(락)의 동네 15분 생활권 도시 구현
| 일치 |
| - 22[2-7] 공공기여에 따른 종상향과 용적률 상향
| 일치 |
| | 일치 |
- 공공서비스 제공하는 우리동네 행복마을관리소 운영
- 원도심 주거 취약지구 생활밀착형 공공서비스 제공
| - 24[2-10] 공공서비스 제공하는 우리동네 행복마을관리소 운영
| 일치 |
신산업 유치, 기존사업 육성으로 일자리 많은 경제도시 |
---|
- 친환경 첨단기업과 우수한 기업 유치
- SK그룹 연계, 산·학·연·관 그린캠퍼스 조성으로 지역 인재 일자리 확대
| 다음 | - 25[3-2] 친환경 첨단·우수기업 유치(SK연계 그린캠퍼스 조성)
| 다음 | 일치 |
| | 일치 |
- 부천종합운동장 주변을 ‘컨벤션‧전시산업(MICE)’ 중심지로 조성
| - 27[3-6] 종합운동장 주변 컨벤션·전시산업 중심지 조성
| 일치 |
- 부천영상문화단지를 디지털 콘텐츠산업 집적지구 조성
| - 28[3-5] 부천영상문화산업단지 디지털 콘텐츠 산업 집적지구 조성
| 일치 |
- 청년 스타트업 기업 육성 및 창업보육센터 설립
| - 29[3-3] 청년 스타트업 육성 및 창업보육공간 조성
| 일치 |
| | 일치 |
| - 31[3-14-1] 산재예방 및 고위험 개선사업비 지원
- 32[3-14-2] 건설공사장 사고사망자 감축을 위한 체계적 안전관리
| 일치 |
| | 일치 |
| - 34[3-9] 부천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협의체 구성
| 일치 |
| | 일치 |
- 공업 지역의 고도화, 복합화 : 쾌적한 녹지 및 주차장 조성, 규제완화
| - 36[3-8] 공업지역의 고도화, 복합화 : 쾌적한 녹지 및 주차장 조성,
규제완화
| 일치 |
- 지역화폐(부천페이) 대폭 확대 : 부천시민 전용 적립형 e-카드 도입
| - 37[3-10]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부천페이 활성화
| 일치 |
| | 일치 |
- 상권의 특색을 반영한 권역별 상권르네상스 프로젝트 추진
- 권역별(고강, 원종, 원미, 역곡, 소사권) 상권 활성화
| - 39[3-13] 상권활성화사업(舊 르네상스 사업) 추진
| 일치 |
| - 40[3-12] 소상공인 1% 저금리 희망대출
| 일치 |
지역사회 통합돌봄의 복지도시 |
---|
| 다음 | | 다음 | 일치 |
| - 42[4-5] 시장직속 저출산‧고령사회대책위원회 설치
| 일치 |
| - 43[4-4]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통합돌봄 사업 확대
| 일치 |
- 부천형 온종일 돌봄확대 추진 및 어린이집‧지역아동센터 지원 확대
| - 44[4-8] 부천형 온종일 돌봄확대 및 어린이집·지역아동센터 지원 확대
| 일치 |
- 육아종합지원센터 지원 확대‧기능 보강하여 ‘아이키우기 좋은 도시’조성
- 안심육아, 안심보육종합지원센터
설립 -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찾아가는 영유아 발달전문가 상담 서비스 제공
| - 45[4-7] 육아종합지원센터 기능 보강으로 ‘아이키우기 좋은 도시’ 조성
| 일치 |
- 방문놀이‧돌봄 서비스쿠폰 다자녀 가정부터 시범 제공
| - 46[4-6] 다자녀 가정 「아이돌봄서비스」 본인 부담금 지원
| 일치 |
| - 47[4-3] 어르신 주치의 등 스마트경로당 활성화
| 일치 |
| - 48[4-11] 장애인 특화 스포츠케어센터 건립 추진
| 일치 |
-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해 무장애 거리 조성 및 대중교통 전반 접근성 개선
| - 49[4-9] 장애인 등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 확대
| 일치 |
- 장애인 일자리 확대를 위해 취업지원 확대 및 다양한 일자리 개발
| - 50[4-10] 장애인 일자리 확대를 위한 직업재활시설 보강
| 일치 |
| | 일치 |
디지털 콘텐츠산업 선도하는 문화도시 |
---|
| 다음 | | 다음 | 일치 |
- 영화, 만화, 비보이, 애니메이션 등 4대 문화축제 연계 관광상품 개발
| - 53[5-4] 4대 문화축제 연계 관광상품 개발
| 일치 |
- 웹툰‧애니메이션 등 청소년 창의예술 교육 프로그램 도입
| - 54[5-3] 웹툰‧애니메이션 등 청소년 창의예술 교육 프로그램 도입 및 강화
| 일치 |
| | 일치 |
| | 일치 |
| - 57[5-6] 야구장 추가 건립(독고탁 야구장)
| 일치 |
도심 속 휴식이 있는 여가도시 |
---|
- 춘의‧역곡지구 ‘부천대공원’과 대장지구‘물길-바람길 공원’ 조성
| 다음 | - 58[6-4] 춘의‧역곡지구 ‘부천대공원’과 대장지구 ‘물길-바람길 공원’ 조성
| 다음 | 일치 |
- 굴포천, 삼정천, 베르네천 등 6개 생태하천 복원 및 여가친수 공간 조성
| - 59[6-1] 베르네천 등 6개 생태하천 복원 및 여가 친수공간 조성
| 일치 |
| - 60[6-3] 중동신도시에 도심 속 친수공간인 실개천 조성
| 일치 |
| - 61[6-2] 굴포천 수변공간 친환경 생태공원으로 특화
| 일치 |
| | 일치 |
| - 63[6-7] 공원 내 반려동물 배설물통 설치
| 일치 |
| - 64[6-6] 반려동물 진료비 자율표시제 시행
| 일치 |
- 찾아가는 반려동물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반려동물 문화센터 설립
| - 65[6-8] 반려동물 문화센터 건립 및 찾아가는 교육프로그램 운영
| 일치 |
아이들을 안심하고 키우는 보육·교육도시 |
---|
| 다음 | - 66[7-5] 초∙중∙고 다목적 실내 체육관 건립
| 다음 | 일치 |
- 등하굣길 아동안전지킴이 배치와 옐로카펫, LED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
| | 일치 |
- 긴급 보육이 필요할 때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안심육아돌봄센터 설치
| - 68[7-3] 긴급 보육이 필요할 때 아이를 맡길 수 있는 365일 시간제 보육
| 일치 |
| - 69[7-4] 취약계층 학습지원을 위한 서포터즈단 운영
| 일치 |
- 미래교육센터 원클릭시스템 지원 확대로 양질의 교육콘텐츠 제공
- 진로특강, 코딩교육 등 온라인강의 제공 부천에듀플러스 구축
| - 70[7-7] 원클릭시스템 지원 확대로 양질의 교육컨텐츠 제공
| 일치 |
- 양질의 진학 정보 제공 위한 대입 수시‧정시 전문가 컨설팅 지원
| - 71[7-8] 양질의 진학 정보 제공을 위한 대입 수시‧정시전문가 컨설팅 지원
| 일치 |
| | 일치 |
| - 73[7-10] 중‧고등학교 동아리 활동예산 지원 확대
| 일치 |
- 산후조리비 지원 및 산모와 신생아
건강관리 지원
| - 74[7-6] 산후조리비 지원 및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추진
| 일치 |
- 임산부 병원이용 시 콜택시 지원(연간
10회 한도)
| - 75[7-2] 임산부 병원이용 등 콜택시 지원
| 일치 |
범죄 사고 없는 안심 안전도시 |
---|
- CCTV확충 및 범죄예방 환경설계로 안전한 골목길 조성
- 360도 터치식 비상벨과 CCTV 부착된 스마트 가로등 증설
- 인공지능 활용 부천 전역 24시간 감시망 구축
| 다음 | - 76[8-1] CCTV확충 및 협업 강화로 시민안전시스템 구축
| 다음 | 일치 |
- 학교 스쿨존 안전 강화 : 옐로카펫, LED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하여 교통안전 강화
| - 77[8-4] 초등학교 주변 등 어린이보호구역 안전강화
| 일치 |
| - 78[8-5] 무단방치 공유 킥보드‧자전거 즉시 견인
| 일치 |
- 보이는 소화기 확대, 어르신 화재경보기‧가스경보기 사업 확대
| - 79[8-2] 골목길 및 취약가구 화재예방 지원사업 확대
| 일치 |
- 공동주택, 학교 등 다중집합 시설의 긴급 재난 예보경보 시스템 구축 - 경찰‧소방‧민간단체 협업을 통한 예방시스템 구축
| - 80[8-3] 공동주택, 학교 등 다중집합시설의 긴급 재난예보경보시스템 구축
| 일치 |
소통과 섬김의 시민 주인도시 |
---|
| 다음 | - 81[9-9]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설치 및 운영
| 다음 | 일치 |
- 시민주권위원회 1호 안건으로 광역동 폐지 논의
| | 일치 |
| | 일치 |
| - 84[9-6] 부천시 메타버스 기반 소통 플랫폼 운영
| 일치 |
- 시민들이 시정을 직접 평가하는 시민평가제 (Saving Icentive System)운영
| - 85[9-1] 시민들이 시정을 직접 평가하는 ‘시민평가제’ 운
| 일치 |
| - 86[9-3] 시민의 결혼식을 위한 공공기관 개방
| 일치 |
| | 일치 |
| - 88[9-2] 경로당 회장(지역봉사지도원) 활동비 지급
| 일치 |
- 만65세이상 어르신 시내버스‧마을버스 무료이용
| - 89[9-8] 만65세이상 어르신 시내 ‧ 마을버스 무료이용
| 일치 |
탄소중립 선도하는 환경도시 |
---|
| 다음 | - 90[10-2] 부천시 ‘탄소중립 로드맵’ 수립
| 다음 | 일치 |
- 대중교통, 공공서비스 차량 친환경 차량으로 대체
- 저상형 친환경 전기버스 단계적 확대
- 친환경 전기 택시 도입을 위한 지원 확대
| | 일치 |
- 버스차고지, 전기충전소, 버스정류장 태양광 시설 신설 및 확대
| - 92[10-1] 버스차고지, 전기충전소, 버스정류장 태양광 시설 신설 및 확대
| 일치 |
| - 93[10-8] 학교 등 공공급식에서 기후위기 대응 체계전환
| 일치 |
- 자원순환 활동을 지원하고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
- 분리배출 장려를 위한 자원순환마일리지 적립 제도 도입
| - 94[10-6] 자원순환 활동 지원 및 마일리지 제도 도입
| 일치 |
- 음식물쓰레기 발생을 최소화하고 자원화 할 수 있는 제도 마련
| - 95[10-7] 음식물쓰레기 발생 감량 및 자원화 제도 마련
| 일치 |
- 금개구리 등 멸종위기종 서식 생태습지 연못 조성
| - 96[10-3] 금개구리 등 멸종위기종 서식 생태습지 연못조성
| 일치 |
| - 97[10-5-1] 부천 탄소중립 대응 플랫폼 구축
| 일치 |
| - 98[10-5-2]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가로수 관리
| 일치 |
원미권역 |
---|
- 사통팔달 부천종합운동장 4중 역세권 융복합 개발 및
복합환승센터 건립 추진
| 다음 | - 99[11-4] 사통팔달 부천종합운동장 복합환승센터 건립 추진
| 다음 | 일치 |
- 역곡역 북부광장 지상공원 및 지하주차장, 환승시설 조성
| - 100[11-5] 역곡역 북부광장, 지하주차장 및 환승시설 조성
| 일치 |
- 춘의동에 산림으로 치유하는 ‘부천 치유의 숲’ 조성
| - 101[11-7] 춘의동에 산림으로 치유하는 ‘부천 치유의 숲’ 조성
| 일치 |
| - 102[11-1] 상공회의소 이전 ‘심곡다목적복합공간’ 건립
| 일치 |
| - 103[11-3] 보훈회관 이전 심곡복지문화센터 건립
| 일치 |
- 원미권역 공영주차장 조성
- 심곡행정복지센터 지상공원‧지하주차장 조성
- 춘의햇살공원 및 지하공영주차장
조성 - 시민숙원사업 석왕사옆‧대성병원옆‧멀뫼사거리 성가시장 공영주차장
건립
| - 104[11-6] 원미(갑)권역 공영주차장 조성(심곡동·춘의·석왕사(멀뫼)·심곡 봄비)
| 일치 |
- 부천시민학습원 재건축 “심곡천복합문화센터” 건립
| - 105[11-2] 부천시민학습원 복합문화공간으로 확대 운영
| 일치 |
| | 일치 |
| | 일치 |
| | 일치 |
| - 109[12-7] 공영주차장 확충(중동, 신중동, 상동)
| 일치 |
- 신중동 지역 상가 내 노후화된 기계식 주차시설 개선
| - 111[12-6] 신중동 지역 상가 내 노후화된 기계식 주차시설 개선
| 일치 |
| | 일치 |
| | 일치 |
| - 114[12-11] 신중동지역 공원 현대화사업 확대 추진
| 일치 |
- 부천시민회관 복합문화센터 및 시민공원 조성 추진
| - 115[12-2-1] 부천시민회관 복합문화공연장 리모델링 추진
[12-2-2] 시민공원 조성
| 일치 |
| | 일치 |
| - 117[12-14] 꿈동산, 사랑마을 주변 법원 담장 개방
| 일치 |
| - 118[12-16] 시민운동장 옆 차없는 특화거리 조성
| 일치 |
| | 일치 |
| | 일치 |
| - 121[12-1] 주민 복합공간 건립 추진(상동권역)
| 일치 |
| - 122[12-10] 한전 상생협력 전력구 공사 지속 관리
| 일치 |
| - 123[12-12] 호수공원 전면 개선 계획 수립
| 일치 |
| - 124[12-9] 시민의강 개·보수 및 생태하천으로 개선
| 일치 |
소사권역 |
---|
| 다음 | - 125[13-9] 하우로 (부분)확장 임기내 착공
| 다음 | 일치 |
| - 126[13-6] 부천역 남부 자유시장 공영주차장 고도화사업
| 일치 |
- 소사경찰서 부지 및 송내푸르지오 앞 시유지 활용방안 수립
| - 127[13-1] 소사경찰서 부지 및 송내푸르지오 앞 사유지 활용방안 수립
| 일치 |
- 대산동 도서관 신축 및 심곡도서관 주민편의시설로 재건축
| - 128[13-14-1] 심곡도서관 이전 신축
- 129[13-14-2] 심곡도서관 주민편의시설로 재건축
-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심의 절차를 통해 [13-14-1] 공약 통합
| 일치 |
- 부천역 지하상가 에스컬레이터 연내
착공(경인로 지하)
| - 130[13-10] 부천역 지하상가 에스컬레이터 연내 착공(경인로 지하)
| 일치 |
| | 일치 |
| - 132[13-4-2] 소사역 환승용 공영주차장 확보
| 일치 |
| - 133[13-12] 소사근린공원 및 238호 근린공원 확장
| 일치 |
- 복사초 이전부지 활용계획 수립
(주민의견 수렴 후 교육청 협의)
| - 134[13-13] 복사초 이전부지 활용계획 수립(주민의견 수렴 후 교육청 협의)
| 일치 |
- 시흥IC 상습정체 해소(양방향 차로확장, IC 진입로 추가)
| | 일치 |
| - 136[13-7] 범박동 카페거리 인근 주차장 조성
| 일치 |
| - 137[13-3] 역곡3동 행정복합센터 + 119센터 통합개발
| 일치 |
| | 일치 |
- 제2커뮤니티 부지 활용계획 수립(주민편의시설)
| - 139[13-8-2] 제2커뮤니티 부지활용계획 수립(주민편의시설)
| 일치 |
| - 140[13-5] 서울방면 광역버스 노선 확충(사당, 강남행)
| 일치 |
| - 141[13-2] 괴안동 주민문화복지시설 조성 추진
| 일치 |
오정권역 |
---|
- 고강역, 원종역 역세권 개발 및 고강지역 도시재생사업 신속 추진
| 다음 | - 142[14-5] 고강ㆍ원종역세권 개발
- [2-2-2] 부천시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(춘의・원미・중동・심곡본동・고강)
| 다음 | 일치 |
- 작동군부대 부지 문화 휴식공간 조성 및 신작동 연계 상권개발과 무장애길 조성
| - 143[14-2] 작동군부대 부지 문화휴식공간 조성 및 신작동 연계상권 개발과 무장애길 조성
| 일치 |
| | 일치 |
| | 일치 |
- 고강제일‧고리울동굴‧원종종합시장 환경정비 및 공영주차장 확충
| - 146[14-3] 부천제일·고리울동굴·원종종합시장 환경정비 및
공영주차장 확충
| 일치 |
- 은데미 공원 주차장 부지 수영장 건립 및 음악당 청소년 문화공간으로 조성
| - 147[14-7-1] 은데미공원 수영장 건립
-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심의 절차를 통해 [4-11] 공약 통합
- 148[14-7-2] 은데미 청소년문화예술 아지트 조성
- 2024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심의 절차를 통해 [14-6] 공약 통합
| 일치 |
| - 149[14-2] 은행단지·고리울시장 인근 보행로 신설
| 일치 |
- 쓰레기 소각장, 굴포하수처리장 이전
지하화 추진
| - 150[14-10-1] 은행단지·고리울시장 인근 보행로 신설
- 151[14-10-2] 굴포하수처리장 현대화 추진
| 일치 |
- 오정군부대 부지 도서관, 청소년 문화센터 건립
| - 152[14-6] 오정 군부대 부지 도서관, 청소년 문화센터 건립
| 일치 |
| - 153[14-1] 구)마사회 건물을 시민문화공간으로 신속 조성
| 일치 |
- 원종제일‧원종중앙‧오정‧신흥시장 환경정비 및 공영주차장 확충
| - 154[14-4] 원종중앙·오정·신흥시장 환경정비 및 공영주차장 확충
| 일치 |
- 봉오대로 상오정IC개선(인천방향추가) 및 BRT 전용도로 노선변경
(벌말로 학장)
| - 155[14-11-1] 봉오대로 오정IC 개선(인천방향 추가)
- 156[14-11-2] BRT 전용도로 노선변경(벌말로)
| 일치 |
| | 일치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