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1-12] 택시복지센터 건립 | 2023. 11. 10. | <공약명, 사업규모> | - 쉼터 기능 외 차량경정비센터, 교육훈련 시설, 커뮤니티 공간 등 운수종사자의 필요 이용시설 확대 조성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3. 6.) ↓ ③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19 ,미승인 4, 기권 1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택시노동자 쉼터 건립 | 택시복지센터 건립 |
부지 500㎡ / 15.5억원 | 부지 700㎡ / 25억원 |
[2-2-1] 원미·소사·오정 공공주도 재개발 추진 | 2023. 11. 10. | <연차별 목표> | - 사업 위치마다 다른 여건으로 추진 일정이 지연됨에 따라, 주민동의율이 확보된 사업지를 우선 추진하여 안정적이고 신속한
주택 공급 유도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3. 8.) ↓ ③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18, 미승인 5, 기권 1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(‘23) 지구지정 6개소 (’24) 사업승인 7개소 (‘25) 토지보상 7개소 (’26) 이주및철거 7개소 | (‘23) 사업승인 1개소 (’24) 지구지정 3개소 (‘25) 사업승인 3개소 (’26) 착공 1개소 |
[2-9] 부천 청년 월세 지원 | 2024. 11. 13. | <공약명, 사업비, 사업규모> | - 국토교통부 청년 월세 지원사업과 통합 추진해, 지원 대상 및 기간을 확대하고 저소득 청년에게 더 많은
혜택을 지원하고자 함
| ① 국가정책 변화 ↓ ②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③ 내부 방침(‘24. 9.) ↓ ④ 2024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29, 미승인 1, 기권 0) ↓ ⑤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청년 주거비 지원 | 부천 청년 월세 지원 |
6억원 | 36.8억원 |
청년(19~39세), 중위소득 120%이하자 | 청년(19~34세), 중위소득 60%이하자 |
[3-11] 상권활성화 지원기구 강화 | 2023. 11. 10. | <공약명, 사업비> | - (재단 설립 연구용역 결과) 재단설립에 따른 재정 부담 및 기능 한계성 등을 고려할 때 현 상권활성화센터의 기능을 확대 운영하여 지역 상권의
발전과 활성화 지원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3. 9.) ↓ ③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16, 미승인 7, 기권 1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상권활성화 재단 신설 | 상권활성화 지원기구 강화 |
110.4억원 | 62.8억원 |
[3-13] 상권활성화 사업 추진 | 2024. 11. 13. | <공약명, 사업규모> | - 1개소 집중 투자보다는 3개 구 권역별 사업대상지의 다각화 및 사업 범주의 다양화를 통해 상권 균형 지원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4. 5.) ↓ ③ 2024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30, 미승인 0, 기권 0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상권활성화사업 (舊 르네상스사업) 추진 | 상권활성화사업 추진 |
원종권역(1개소) /60억원 | 원미,소사,오정 균형지원/ 80억원 |
[6-1] 베르네천 등 6개 생태하천 복원 및 여가 친수공간 조성 | 2023. 11. 10. | <연차별 목표> | - 관내 도시개발사업
추진에 따라 하천의 형상 등 대규모 지형변화가 발생 되면서 연차별 일정 변경
| ① 국가정책, 행정환경 변화 ↓ ②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③ 내부 방침(‘23. 9.) ↓ ④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21, 미승인 2, 기권 1) ↓ ⑤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(‘23) 베르네천 착공 (’24) 오쇠천, 고리울천 추진 (‘25) 오쇠천, 고리울천 추진 (’26) 베르네천생태하천복원 | (‘23) 여월천 준공 (’24) 베르네천 설계 (‘25) 고리울천, 오쇠천 설계 (’26) 고리울천, 오쇠천 복원 |
[6-3] 중동신도시에 도심 속 친수공간인 실개천 조성 | 2023. 11. 10. | <연차별 목표, 사업비> | - 단계별 실개천 조성계획이였으나, 지하수 부족으로 2단계 사업 추진 어려움
- 1단계 완료구간의 유속,수질 등 장기 검토 후 2단계 추진
(※ 노후계류 정비 2023.4월 완료)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3. 9.) ↓ ③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21, 미승인 2, 기권 1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(‘23) 1단계 사업 (’24) 2단계 사업 | (‘23) 사업준공 |
35억원 | 10억원 |
[9-4] 광역동 폐지 일반동 전환 추진 | 2023. 11. 10. | <사업비> | - 공사비 물가상승 및 이전 대상기관 증가로 사업비 증가
| ① 국가정책, 행정환경 변화 ↓ ②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③ 내부 방침(‘23. 7.) ↓ ④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13, 미승인 10, 기권 1) ↓ ⑤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133억원 | 290억원 |
[11-2] 부천시민학습원 ‘복합문화공간’ 으로 확대 운영 | 2023. 11. 10. | <공약명, 사업기간, 사업규모> | - 시민학습원 이전에
따른 원도심 평생학습 공백 발생 우려 - 현 시설을 리모델링하여, 문화공간과 주민을 위한 커뮤니티시설 제공, 공간활용을
통한 평생학습 사업 확대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3. 9.) ↓ ③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20, 미승인 3, 기권 1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부천시민학습원 재건축 ‘심곡천복합문화센터’ 건립 | 부천시민학습원 ‘ 복합문화공간’으로 확대 운영 |
2027. ~ 2032. | 2023. ~ 2026. |
2,000㎡ / 70억원 | 1,681㎡ / 2.4억원 |
[11-5] 역곡역 북부광장, 지하주차장 및 환승시설 조성 | 2024. 11. 13. | <공약명, 사업규모, 사업비> | - 역곡지구 조성에 따른 교통환승 수요 증가 및 주민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시설규모
확대 등 사업계획 변경 필요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4. 7.) ↓ ③ 2024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20, 미승인 10, 기권 0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역곡역 북부광장 지상공원 및 지하주차장, 환승시설 조성 | 역곡역 북부광장, 지하주차장 및 환승시설 조성 |
연면적 3,854.4㎡ / 주차장 100면 | 연면적 3,255.4㎡ / 주차장 150면 |
342억원 | 587억원 |
[11-6] 원미(갑)권역 공영주차장 조성 | 2023. 11. 10. | <세부사업명 및 내용> | - 사업대상지 일원 토지소유자들의 이주 보상 거부 등 사업반대로 인해 사업추진이 어려워 심곡동 권역내 사업대상지 변경(심곡동135-3→소사동 48-21/사업비(기부채납))을 통해 공약실행에 내실을 기하고자 함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3. 8.) ↓ ③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13, 미승인 10, 기권 1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심곡동행정복지센터 공원 및 지하주차장 조성 | 심곡동 권역 내 주차장 및 공원 조성사업 |
456억 | 기부채납 |
[11-9] 북부도서관 리노베이션 추진 | 2024. 11. 13. | <공약명, 사업규모, 사업비> | - 시 재정여건을 고려해 노후된 필수설비 우선 교체와 독서문화 커뮤니티 거점 으로서의 공간 혁신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독서문화 환경 조성
- (중장기) 오정도서관 신축시기에 맞춰 합리적 건립(신축)방향
검토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3. 9.) ↓ ③ 2024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30, 미승인 0, 기권 0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북부도서관 건립 | 북부도서관 리노베이션 추진 |
시민학습원, 주차장 조성 | 카페형 전시문화공간 조성 |
5,585㎡ / 499억원 | 2,974㎡/ 5.7억원 |
[12-7] 공영주차장 확충 (중동, 신중동, 상동) | 2023. 11. 10. | <연차별목표, 사업비> | - 신흥시장 공영주차장 조성공사 관련 민원발생(균열, 기울어짐)에 대한 대책으로 인접
구조물에 영향이 적은 공법으로 변경 추진 - 공법변경에 따른 사업비 및 일정 변경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3. 2.) ↓ ③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22, 미승인 1, 기권 1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(‘23) 신흥시장 공영주차장 준공 | (‘24) 신흥시장 공영주차장 준공 |
1,403억원 | 1,463억원 |
[13-1] 소사경찰서 부지 및 송내푸르지오 앞 시유지 활용방안 수립 | 2023. 11. 10. | <사업규모> | - (舊 부천소사경찰서)
국유재산 취득절차 변경에 따라 부지매입비 절감으로 사업비 축소 - (송내푸르지오앞 시유지) 부지활용도 향상을 위해 건축규모
확대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3. 8.) ↓ ③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14, 미승인 9, 기권 1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(舊 소사경찰서) 526억원/ 공공청사 조성 (송내푸르지오 앞) 77억원 /2,200㎡ | (舊 소사경찰서) 95억원/ 주민편의시설 등 조성 (송내푸르지오 앞) 103억원 /2,500㎡ |
[13-2] 괴안동 주민문화복지시설 조성 | 2023. 11. 10. | <공약명, 사업기간, 사업비> | - 행정체제 개편으로 해당 부지에 괴안동주민센터 입주 등 청사 재배치
- 이에, 청사 내 주민프로그램실 확장, 사회복지관 배치, 내진보강를 실시하여 노후된 청사를 개선하고 시민이 빠르게 체감할수 있는 공약으로 변경 추진
| ① 행정체계 개편(정책환경 변화) ↓ ②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③ 내부 방침(‘23. 8.) ↓ ④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18, 미승인 5, 기권 1) ↓ ⑤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괴안동 주민문화복지센터 건립 | 괴안동 주민문화복지시설 조성 |
2023. ~ 2027. | 2023. ~ 2025. |
3,500㎡ / 122억원 | 2,077㎡ / 13억원 |
[13-8-1] 옥길문화체육센터 건립 | 2023. 11. 10. | <사업규모> | - 시설규모 조정 및 물가상승 등 건축 공사비 상승으로 사업비 증가
| ① 행정체계 개편(정책환경 변화) ↓ ②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③ 내부 방침(‘23. 3.) ↓ ④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20, 미승인 3, 기권 1) ↓ ⑤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9,700㎡ / 425억원 | 9,098㎡ / 488억원 |
[13-8-2] 제2커뮤니티 부지활용계획 수립 | 2023. 11. 10. | <사업기간, 사업비> | - 부지활용을 위해 주민의견 수렴 및 지역에 필요한 시설에 대한 용역 실시
- 주민편의시설로써 최적의 활용 방안을 수립하여 공약실행에
내실을 기하고자 함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3. 8.) ↓ ③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19, 미승인 4, 기권 1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2023. ~ 2028. | 2023. ~ 2025. |
332억원 | 1억원 |
[13-14-1] 심곡도서관 리모델링 | 2023. 11. 10. | <공약명, 사업기간, 사업비> | - 심곡도서관 이전대상지 확보 어려움
- 노후시설 개선 및
문화강좌실 조성 등 리모델링 통해 빠른 공약 추진과 시민 만족도 제고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3. 3.) ↓ ③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17, 미승인 6, 기권 1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심곡도서관 이전 신축 | 심곡도서관 리모델링 |
2022. ~ 2028. | 2023. ~ 2024. |
118억원 | 29.3억원 |
[14-10-1] 자원순환센터 현대화사업 추진 | 2023. 11. 10. | <공약명, 사업비, 연차별목표 > | - 소각장 이전 및 지하화여부와 관련, 사업목표와 범위를 명확히 하고자 공약명을
‘자원순환센터 현대화사업 추진’으로 변경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3. 5.) ↓ ③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17, 미승인 6, 기권 1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쓰레기 소각장 이전 지하화 추진 | 자원순환센터 현대화사업 추진 |
169억원 | 168억원 |
(‘23) 예비타당성 조사 (‘24) 기본(실시) 설계 (‘25) 공사 (‘26) 공사 | (‘23) 타당성조사 (‘24) 기본계획용역 (‘25) 예비타당성 조사 (‘26) 기본(실시)설계 |
[14-10-2] 굴포하수처리장 현대화 추진 | 2023. 11. 10. | <사업내용, 사업비, 연차별목표> | - 이전 재건설에 대한 대규모예산 및 시설
운영비 상승에 따른 시민부담 가중으로 ‘제자리 현대화’ 추진
| ① 관련 기관 및 시민의견 수렴 ↓ ② 내부 방침(‘22. 12.) ↓ ③ 2023년 공약이행시민평가단 승인 (투표결과 → 승인 22, 미승인 1, 기권 1) ↓ ④ 변경 확정 및 시민 공개 |
---|
제자리 현대화 또는 이전 재건설 | 제자리 현대화 |
1조 3,400억원 | 미정 |
(‘23)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승인 (‘24) 사업시행자 지정 (‘25) 실시계획 승인 (‘26) 공사 | (‘23 정밀안전진단 (‘24) 기본계획 용역 (‘25) 설계 용역 (‘26) 설계 용역 |